/etc/init.d 와 /etc/init 폴더의 차이점

/etc/init.d 는 System V init tools(SysVinit)가 사용하는 스크립트를 담고 있습니다. 이는 리눅스가 지금까지 전통적으로 사용해온 서비스 관리 프로그램인 init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스크립트 들입니다. init 프로세스는 커널이 초기화되고 나서 가장 처음 실행되는 프로세스 입니다. /etc/init.d 안에는 init 프로세스가 특정한 서비스(apache, mysql, …) 들을 start, stop, restart, reload 할 수 있는 쉘 스크립트들이 들어있습니다. 이 스크립트들은 사용자가 직접 실행할 수도 있고 /etc/rc?.d 디렉토리에 링크가 연결되어 부팅시에 자동으로 실행하게 할수도 있습니다

/etc/init 은 Upstart가 사용하는 설정파일들을 담고 있습니다. Upstart는 너무 오래된 init을 대체하기 위한 비교적 최근에 개발된 프로그램 입니다. /etc/init 디렉토리에는 Upstart가 start, stop, reload, status 명령을 통해서 특정 서비스를 어떻게 동작시켜야 하는지 설정을 담고있습니다. 우분투 10.04(lucid) 버전부터 우분투는 전통적인 SysVinit 프로세스에서 Upstart 로 전환중입니다. Upstart 로 시스템 구성이 선호되지만 당분간은 SysVinit 구조도 같이 제공될것입니다. 사실, SysVinit 스크립트는 Upstart의 호환성 레이어를 이용해서 처리되게 됩니다.

.d 디렉토리 이름은 일반적으로 어떤 환경에 필요한 설정 파일이나 스크립트를 담고 있다는 의미로 쓰입니다.(예를 들어 /etc/apt/sources.list.d 는 sources.list 를 작성하는데 필요한 파일들이 들어있습니다. /etc/network/if-up.d 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활성화 시킬때 필요한 스크립트를 담고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init”은 논리적인 이름을 가진 디렉토리 이지만, SysVinit이 먼저 init.d 디렉토리를 사용하고 있으니, Upstart는 그냥 init 을 같은 목적으로 사용하는 디렉토리명으로 선택했습니다.

Upstart 는 systemd로 언젠가는 대체될 예정입니다.

참고자료
http://blog.sapzil.org/2014/08/12/upstart/
http://lunatine.net/about-systemd/

LWN 2013-8-15일자

이 문서는 영어공부용으로 번역하고 있는 LWN 뉴스레터 입니다. 영어 공부용이라 번역이 엉망입니다 ㅠ_ㅠ

GTK++, 안정적이고 괜찮은 미래
GTK+ 어플리케이션 툴킷은 대부분 GNOME 데스크탑과 관련되어있다. 하지만 비 GNOME 환경들과 어플리케이션들에 의해 사용되기도 한다.
이런 다양한 활용은 때때로 GTK+의 방향과 본질에 대해 우려를 야기시킨다. GTK+ 툴킷은 오직 GNOME을 위한 기술인가? 아니면 GNOME처럼 거대한 사용자를 위한 시스템 중립적인 툴인가? 이 주제에 대한 몇몇 이야기가 GUADEC 2013에서 열렸다. 툴킷이 직면한 미래와 장기적인 방향에 대해 많은 토론이 이루어졌다.

이하 생략…

커널 릴리즈 상태
현재 개발 커널은 3.11-rc5이며 8월 11일에 릴리즈 되었다.
리누즈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슬프게도, 숫자점은 잘 계산되지 않았으며, 최종 3.11을 릴리즈 하는 동안 20년전 오늘
윈도우즈 3.11리 릴리즈 되는 우연히 생길수도 있었지만 그러지 못했다. 대신 3.11-rc5를 갖게 되었다.”
흔한 수정과 함께 이번 프리패치는 8월8일 논의되었던 ‘linkat() 퍼미션 변경’ 수정건이 들어있다.

siemon: Queueing in the Linux Network Stack
덴 사이몬은 리눅스 네트워크 스택이 패킷을 큐잉하는 내용에 대해 자세한 글을 포스팅했다.
“3.6.0(2012-09-30)커널 이후로, 리눅스 커널은 TCP Small Queue 라고 불리는 새로운 기능을 가지게 되었다.”
이하 생략…

2038년을 생각한다
전통적인 유닉스 시스템은 signed 32bit integer를 이용해서 1970년 1월 1일 이후로 초의 숫자를 세고 있는데, 2038년 1월 19일에 오버플로우 될것이다.

KPortReserve and the multi-LSM problem
생략

Optimizing preemption
생략